UIUX/UIUX 디자인22 Design Process (학습일지 6주차) Design Process Double Diamond 더블 다이아몬드 서비스 디자인에서 사고의 폭을 넓히고, 아이디어를 하나로 좁혀가는 과정을 정리한 모델로 알려진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크게 Discover, Define, Develop, Deliver 네 단계로 정의가 되어있다. 1 Discover 확산의 단계 고객 경험 리서치를 통한 문제를 설정하고 사용자 경험을 조사 및 분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경험을 높이기 위해 기획과 디자인을 하게 되며, 사용자와 시장 경쟁 서비스를 분석하는 것이 핵심 요소이다. 핵심 고객 설정, 고객 관찰, 고객 체험, 인터뷰를 사용한다. 2 Define 아이디어 수립 및 수렴의 과정 자료 분석 및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환경 분석에서 얻어진 다양한 결과를 정리해.. 2024. 1. 14. Protopie_ 프로토타이핑이란? (학습일지 6주차) Prototyping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이란? 제품을 실제로 만들기 전에 제품과 유사하게 만들어 제품의 오류나 결함 등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움직이는 디자인) 왜 만들까? 1. 오류와 결함을 찾아내기 위해서(사용자 테스트 포함) 2. 엔지니어와 소통하기 위해서 3. 경영진 등 비즈니스 이해관계를 설득하기 위해서 Q. 매번 작업마다 프로토타이핑 과정이 필요한가요? A. 팀 혹은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다르다. Q. 굳이 프로토타이핑을 만들어야 하나요? 디자인까지 잘해서 넘기면 되는 거 아닌가요? A. 디자인 팀 내부에서 의사결정할 때 도움이 된다. Prototyping Tool 프로토타이핑 툴 평균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툴 : 피그마, 어도비xd, 프로토파이 등 2024. 1. 10. 디자인 스타일가이드_ 해상도와 밀도 (학습일지 6주차) 디자인 스타일가이드(어도비xd) : 해상도와 밀도 기기들마다 해상도에 차이가 있고, 해상도마다 선명도의 차이가 나타난다. 해상도란 이미지의 가로, 세로에 몇 개의 화소, 픽셀이 있는지 나타낸다. 화소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세밀하게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해상도를 표현하는 몇 가지 단위 1. 픽셀 Pixel = px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의 단위이다. 절대 단위이기 때문에 실제 디자인의 크기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2. 포인트 Point = pt ios가 화면의 콘텐츠를 배치하는데 사용하는 좌표계는 포인트 단위의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 표준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1:1 픽셀 밀도 또는 1 배수라고 한다. 1pt는 1px을 의미한다. 3. Density-independent pixel = dp 밀도 독립적 .. 2024. 1. 8. UX/UI 디자인 심리학_ 게슈탈트 법칙 (학습일지 5주차) 사용자에게 보기 좋은 UI,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심리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디자인이 어떻게 인식되는지 이해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목표에 달성할 수 있게 하며, UI 디자이너들은 이런 시각적 경향을 이용해서 더 나은 구조나 시각 요소들을 한데 묶어서 정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게슈탈트 법칙(Gestalt Principle) 게슈탈트란 형태, 형상을 의미하는 독일어로, 형태 요소들이 일정한 관계에 의하여 조직된 전체를 말한다. 게슈탈트 법칙은 1920년대 독일 심리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인지방법에 대한 이론이다. 즉, 사람이 무엇을 바라보고 인식할 때 일정한 경향이 있다는 내용이다. 게슈탈트 법칙 1. 근접성의 법칙(The law of Proximity) 요소를 .. 2024. 1. 7. 휴리스틱 평가 (학습일지 5주차) 휴리스틱 평가(Heuristic Analysis) 휴리스틱(Heuristic) 이란? 불충분한 시간이나 정보로 인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거나, 체계적이면서 합리적인 판단이 굳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보다 용이하게 구성된 간편 추론의 방법이다. 그리스어로 ‘발견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럼 휴리스틱 평가는 무엇인가?? 위 내용을 바탕으로 제품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UX 분석 방법이다. 제품이 사용자의 인지적 오류를 줄여줄 수 있는 방향으로 디자인되었는지, 나아가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제품 이용 과정에서 정서적 만족을 느끼는지를 함께 평가한다. 제이콥 닐슨의 UI 사용성 평가 5가지 요소 1. 용이성 2. 효율성 3. 기억성 4. 오류 5. 만족성.. 2024. 1. 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