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IUX/UIUX 디자인22

Product Designer & 디자인 직군 변화 (학습일지 8주차) Product Designer Product + Designer = 'Product'라고 불리는 것을 디자인하는 사람 Product = 제품 제품은 제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재화를 말한다. 공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있어서는 주요한 상품이 된다. 제조 공정은 있지만 형태가 없는 제품도 있다. 디지털 형식으로 인터넷 등 네트워크로 전달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그럼 프로덕트 디자이너란?? Product Designer = 제조 프로세스에 따라 무형의 제품을 디자인하는 사람 >> 이러한 제품, 서비스를 론칭하기 전에 아이디에이션 단계에서부터 론칭하기까지 서비스의 전반적인 제조 프로세스에 따라 제품을 사용할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것이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하는 일이다. - 제품이라.. 2024. 1. 25.
포트폴리오 준비..! (학습일지 8주차) 8주차 과제! 1. 포트폴리오 주제 선정 1-1. 신규 서비스의 아이디어 세우기 1-2. 포트폴리오 주제 3개 + 주제에 대한 생각 2. 벤치마킹 인프라 구축 2-1. 벤치마킹 인프라를 구축하기 2-2. 벤치마킹 포트폴리오 3장 이상 작성 3. 클론 디자인 - 자유 주제 4. 레퍼런스 분석 5. 포트폴리오 입과 과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분석 및 개선 -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취향을 만드는 과정을 귀찮아하지 않게 쉽게 UX/UI를 설계 이제 포트폴리오를 준비해야하는 단계인데 할 것이 많다.. 어찌저찌 레퍼런스 찾아보고 분석해 보고 열심히 해보려고 노력 중이다! UI/ UX적으로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개선하면 좋을지 생각하는 게 하다 보면 비슷한 부분으로만 보이게 되는데 그런 생각이 들면 다른 레퍼런스도.. 2024. 1. 24.
Agency 에이전시_ 디지털 프로덕트 제작 형태 (학습일지 8주차) Agency 에이전시(바이널씨)?? - 대기업, 인하우스의 업무를 대행해 주는 대행사, 외주사 - 프로젝트를 의뢰받아 수행해주는 역할 - 서비스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 - 디지털 프로덕트를 유지운영해주는 역할 장점 -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 - 다방면의 퍼포먼스 향상 - 자유로운 분위기 - 재미있는 프로젝트들 단점 -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어 일하기 어려움 - 연봉 테이블이 낮음 - 내것이 아닌 남의 것을 해주기에 내것 같은 느낌이 들지 않음 에이전시 디지털 프로덕트 제작 형태 Digital Product : 컨설팅(consulting), 구축(build), 리뉴얼(renewal), 유지운영(maintenance) 1. 컨설팅(consulting) - 서비스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을 잡아주는.. 2024. 1. 22.
CX(Customer Experience)의 역할 (학습일지 7주차) 기업에서의 CX (Customer Experience)의 역할 1) 총체적 경험을 다룬다. - CX는 UX보다 더 넓은 개념이지만 때로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 기업별 CX의 업무 범주가 상이하다. 2) 이런 업무를 해요. - UI/UX 영역은 프로덕트 디자인에 가깝고, CX는 마케팅의 영역까지 포괄한다. - CX는 고객 경험을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심리스한 경험을 만든다. - CX는 비즈니스나 서비스 이해도가 높은 다양한 멤버들로 구성이 된다. 이 중에서도 경험을 다루는 역량이 중요하다. 3) 이렇게 진행해요. CX디자인 프로세스는 UX디자인 프로세스와 거의 동일하고, 조금 더 비즈니스적인 관점을 더한 것이다. **강의 - 11.실무 프로세스 및 노하우_대기업(ssg) ch2-1** 2024. 1. 19.
Prototyping Design의 중요성 및 도구 (학습일지 7주차) Prototyping은 두 가지 툴로 나눌 수 있다. 1. Time based Flow Design 2. State based Interation Design 1. Time Based Flow Design (시간 기반의 동선을 점검하기에 용이) 프로젝트 초기에 서비스의 플로우를 그려보고 실제 서비스의 콘셉트를 확인해 보는 과정이다. Pros (장점) - 프로젝트의 초반의 콘셉트를 명확히 확인 - 필요한 경우 빠른 테스트 또한 수행 가능 - 초반 적극적 커뮤니케이션에 유용 - 프로토타입을 통한 구성원 간 합의 도출 Cons (단점) - 리치한 인터랙션을 보여주기엔 한계 - 툴마다의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 수준의 한계 + 대표적인 툴 1) Paper Prototypin.. 2024.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