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타입 Prototype
1) 프로토타입이란
Prototype: 미리 만들어 보는 것
- 프로토타입은 왜 필요할까? Test early, Test often!
- 프로토타입은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고려해야 할 점은.. 시간+돈+목적.
- 종류
1. Lo-fi prototype: No time + Early stage = Concept evaluation (누가 봐도 이건 프로토타입인 것)
장점: 상상을 현실로, 저렴한 제작비용, 손쉬운 수정
2. Hi-fi prototype: Time + (almost) Final stage = Realistic usability (실제처럼 만든 것)
장점: 현실적인 디자인 검증, 인터랙션 개발 리뷰, 시나리오 검증 (하지만 실제로 만들기는 너무 어려움)
2) 프로토타입 제작 툴
Lo-fi
- 진짜 종이에 그리기. 화이트보드, 종이, 펜 등(업데이트가 어려움. 공유를 위해서 디지털화하는 번거로움이 있음)
- 파워포인트(없는사람 없음, 쉬운 공유, 스탠실을 통한 빠른 제작 가능. but, 제한적 인터랙션, 업데이트 어려움)
- 발사믹 Balsamiq(아주 쉬운 사용, 빠른 제작 시간, 쉬운 공유. but, 제한적 인터랙션, 비현실적 표현)
Hi-fi
- 인비전(라이브러리 등록, 직관적인 사용, 화면단위 피드백 수집. but, 제한적 인터랙션, 디자인 기능 부족)
- 피그마(직관적인 사용, 스케치 파일 Import, 다양한 인터랙션 지원, 화면단위 피드백 수집. but, 긴 시나리오는 제작 관리가 어려움)
- 프래이머(CLI command line interface 지원, 높은 자유도, 넓은 호환성, 커피 스크립트)
3) 프로토타입의 제작과 활용
1. 프로토타입 제작
- 제작 목적 정하기
- 제작 범위 정하기
- 제작 툴 정하기
- 프로토타입 만들기
2. 프로토타입의 활용
- 프로토타입 공유하기
- 피드백 수집
>> 프로토타입은 어떠한 정보를 얻기 위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제 사용자가 우리 프로덕트를 만져보면서 어떻게 쓰는지 볼 수 있어서 중요한 툴이다.
MVP(Minimum Viable Product)
1) MVP란
= 가장 최소 기능의 제품
MVP는 최소한의 노력을 최대한의 유의미한 사용자 피드백을 얻기 위한 최소한의 제품이다.
2) MVP 디자인 프로세스
Step1. 핵심 기능 정의
Step2. 제품 개발 (Lo-fi 혹은 Hi-fi 프로토타입을 만들거나, 데모 비디오나 컨셉 시나리오만으로도 가능)
Step3. 검증, 인사이트 도출 (In-depth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 컨셉 스터디 등)
'UIUX > UIUX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 UX Researcher (학습일지 2주차) (29) | 2023.12.16 |
---|---|
UX이론_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기본개념 (학습일지 2주차) (32) | 2023.12.15 |
UX이론_ UI컴포넌트와 레이아웃 (학습일지 2주차) (0) | 2023.12.14 |
UX 이론_ 퍼소나 Persona (학습일지 2주차) (0) | 2023.12.12 |
UX이론_ User Journey Map, Task Flow (학습일지 1주차) (0) |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