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IUX/UIUX 디자인

Design Process (학습일지 6주차)

by 'w'지니 2024. 1. 14.
반응형

Design Process

 

Double Diamond 더블 다이아몬드

 

서비스 디자인에서 사고의 폭을 넓히고, 아이디어를 하나로 좁혀가는 과정을 정리한 모델로 알려진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크게 Discover, Define, Develop, Deliver 네 단계로 정의가 되어있다.

 

1  Discover 확산의 단계

고객 경험 리서치를 통한 문제를 설정하고 사용자 경험을 조사 및 분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경험을 높이기 위해 기획과 디자인을 하게 되며, 사용자와 시장 경쟁 서비스를 분석하는 것이 핵심 요소이다. 핵심 고객 설정, 고객 관찰, 고객 체험, 인터뷰를 사용한다. 

 

2  Define 아이디어 수립 및 수렴의 과정

자료 분석 및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환경 분석에서 얻어진 다양한 결과를 정리해서 정확한 문제해결과 그에 따른 해결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이다. 페르소나, 고객여정지도(져니맵), 핵심 욕구 도출, 서비스 콘셉트 도출 등을 사용한다. 

 

3  Develop 해결책 구체화, 확산의 단계

세부 해결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구조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와 UI설계를 진행한다.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모델을 개발한다. 브레인스토밍, 서비스 사용자 흐름도, 스토리 보드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4  Deliver 적용 및 수렴의 단계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이 단계에서 모델을 평가하고 과제를 마무리 짓는 단계이다. 이해 관계자 지도, 비즈니스 모델, 운영 모델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Stanford's d.school의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디자인 씽킹의 대표적인 교육기관. 대중의 필요와 잠재적 욕구를 발견하고 창의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디자인 씽킹 수업을 진행한다. 

 

 

1  Empathize 공감

맥락 속에서 사람들을 관찰하고, 전형적인 환경 속에서 사용자를 살펴보는데 그들의 알 수 없는 행동을 발견하고 충족되지 않은 니즈를 드러내고 미래의 기회를 찾아내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2  Define 정의

디자인 연구 수행 뒤에 수집한 정보를 종합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행동이 남긴 귀중한 통찰을 발견하고 진정한 기회를 구별할 수 있다. 수집한 데이터에서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사용자에게 가장 의미 있는 가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단계이다.

 

3  Ideate 아이디어

문제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데, 스케치,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핑 등의 방법들을 사용한다.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4  Prototype 프로토타입

아이디어를 구체화(가시화)하는 단계이다. 아이디어 도출 과정에 따라 디자인을 하고 프로토타입을 만드는데 기본적으로 사용자들의 경험 흐름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5  Test 테스트

진행한 프로토타입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해결책인지 검토할 수 있는 단계이다. 테스트를 했는데 문제점이 남아있다면 앞 단계로 돌아간다.

 

 

Google Design Sprint

 

구글에서 제안한 혁신 워크숍 방법론이다. 구글 스프린트를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상의 결과를 얻어내도록 조정된 최적의 프로세스이다.

 

< 지향해야 할 두 가지 철학 >

1.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는 누구에게나 나올 수 있다.

2. 고객의 반응이 정말 중요하다.

 

 

1  Understand 이해

비즈니스의 문제점, 기술능력, 사용자의 요구를 공유하는 단계이다. 목표는 제품이나 프로젝트 이해를 넓혀가는 것이다. 모든 팀원이 같이 이해단계에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Diverge 발산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모으는 단계이다. 세부 팀으로 나눠 해결책을 모색하며 개개인의 제품 및 서비스의 문제점을 찾는다.

 

3  Decide 결정

아이디어를 검토하고 최상의 아이디어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결정 단계에서는 예산, 사용자의 기술 가능성, 비즈니스 등이 고려된다. 선별된 아이디어들이 스토리보드를 통해 시험 제작에 들어간다.

 

4  Prototype 프로토타입

가장 본인이 편리한 툴로 시험 제작하여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평가하게 한다.

 

5  Validate 평가

시험 평가를 할 최종 평가 그룹, 전문가, 이해관계자들을 초대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하면서 제품에 대한 평가를 시작하고 기록한다. 그 과정에서 발견된 것들을 기반으로 다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Why, How, What에 따른 실무 Task

 

why / how / what

 

 

 

**강의 - 9. UI 디자인 기초 강의_ch1-4,5**

반응형